청년·고령층을 위한 주거 복지 대전환! 2025년 특화주택, 전국 14개 지역에 1,786가구 공급
2025년 상반기, 국토교통부는 혁신적 주거 복지 모델인 ‘특화주택’ 사업을 통해 전국 14개 지역에 총 1,786가구를 공급하기로 했습니다. 이 중에는 청년층, 고령자, 신혼부부, 지역맞춤형 모델 등이 포함되며, 단순 임대주택을 넘어 돌봄·공유·일자리 연계 시설이 결합된 새로운 복지 주거입니다
특화주택이란 무엇인가? 목적과 구성
특화주택은 단순 공급 중심의 공공임대주택이 아닌, 사회적 수요자 특성을 반영하여 설계된 '수요자 맞춤형 공공주택'입니다.
생활지원·돌봄 시설 결합
공유오피스, 셰어주방, 계절창고 등 공동 시설 포함
지역 특성 맞춤형 설계와 입주 자격 조정이 가능한 혁신적 모델입니다
이번 사업에서 선정된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고령자복지주택 | 4개 지역 | 368가구
청년특화주택 | 3개 지역 | 176가구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 3개 지역 | 159가구
지역제안형(지역 맞춤) | 4개 지역 | 1,083가구
전국 14곳, 공급 일정과 지역별 주요 특징
📌 지역 리스트 및 공급 유형
경기 부천시, 포천시, 광명시, 동두천시
강원 삼척시
전북 고창군, 부안군
울산, 제주 서귀포시
이 지역들은 각기 다른 유형의 특화주택을 공급하며, 지역별 사회적 역할과 입주 대상을
고려해 설계되었다는 점에서 주목됩니다
유형별 공급 내용 및 특성
지역제안형 특화주택 (총 1,083가구)
지자체가 직접 설계와 입주조건을 제안한 유형으로,
경기 부천시 대장지구: 741가구 규모의 세대통합 모델 구성. 부모·자녀 세대가 공동 거주 가능하며
중산층까지 입주 대상 확대. 공공시설, 상업시설 복합 운영 예정
경기 동두천(210가구), 포천(32가구), 강원 삼척(100가구): 지역 실정에 맞춰 맞춤형 공급.
삼척: 탄광 근로자 및 대학생 대상, 세대 간 교류 프로그램 포함
고령자복지주택 (총 368가구)
울산(214가구), 부천(100가구), 제주 서귀포(54가구)
고령자 맞춤형 설계(안전손잡이, 무장애 구조 등) + 사회복지시설 연계, 여가 지원 포함
청년특화주택 (총 176가구)
울산 울주군(36가구) + 전북 고창(40가구), 부안(100가구)
공유주방, 공유거실, 계절창고 등 청년층 니즈 중심 시설 구성.
지역 청년 유입과 정착 유도를 위한 전략적 공급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총 159가구)
경기 광명시(123가구), 울산 울주군(36가구)
직주 근접형 설계(공유오피스 포함). 산업단지 근로자와 창업자 지원 목적
수요자별 주요 혜택과 차별점
청년층
저렴한 임대료 + 공유시설 제공
지역정착 및 커뮤니티 형성에 유리
고령자
주거약자 편의시설 (안전손잡이, 무장애 구조)
단지 내 사회복지 프로그램 및 복합시설 제공
중산층 (부천 대장지구 사례)
중위소득 200% 이하도 입주 가능하도록 요건 완화
복합개발 구조로 넓은 이용 가능 공간 확보
지역균형 발전
강원 삼척이나 전북 고창·부안 등 청년층 유출 지역에도 공급
지역 활성화, 인구 유입 전략과 연계된 공공주택 모델
추진 일정 및 제도적 기반
해당 사업은 2025년 4~5월 공모 → 심사 → 선정 완료된 상태
현재 사업계획 승인, 설계, 착공 준비 중이며, 입주는 2029년~2030년 경 예정입니다
국비(주택도시기금)를 최대 80% 지원하며, 지자체와 민간 사업자가 공동 시행 예정
이 사업이 의미 있는 이유
💡 새로운 공공주택 패러다임 제시
단순 공급을 넘어 사회적 수요와 생활 방식을 반영한 공공임대 구조가 도입된 것은 의미 있는 진전입니다.
🤝 지역 맞춤형 복지 구현
지역제안형 특화주택은 지자체가 직접 설계·제안한 만큼, 지역 고유의 특성과 수요를 충실히 반영합니다.
📉 주거 불안 해소 및 세대 통합
청년층과 고령층의 주거 안정, 세대 간 돌봄 연계, 중산층까지 확장된 입주 조건은 주거 복지의 폭을 넓히는 긍정적 시도입니다.
입주를 희망한다면? 조건과 절차 정리
각 지역별 입주 조건, 소득 요건은 지자체별 공고에서 확인 가능
청년 특화주택: 일반적으로 무주택 청년 또는 일정 소득 이하
고령자복지주택: 65세 이상 무주택자 대상
지역제안형: 입주 요건은 해당 지자체별로 다릅니다 (예: 중산층까지 포함된 부천 사례)
※ 추후 국토부 및 LH 홈페이지, 해당 시·군 공고를 통해 입주 신청 요건 발표 예정.
✅ 요약 정리 요약 테이블
특화주택 유형 공급 지역 (예시) 공급 가구수 주요 대상 주요 특징
지역제안형 부천, 동두천, 삼척, 포천 1,083호 중산층 포함 세대공동 입주 지자체 제안 설계, 복합단지
고령자복지 울산 2곳, 부천, 제주 368호 65세 이상 고령자 안전설계, 복지시설 연계
청년특화 울산·고창·부안 176호 청년층 공유시설, 저렴 임대
일자리연계형 광명, 울산 159호 산업단지 근로자, 청년 창업자 직주근접+공유오피스
마무리: 주거복지의 새로운 이정표
이번 2025년 특화주택 공급 사업은 단순히 숫자의 증가가 아닌, 청년·고령층·신혼부부 등
다양한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공공주택의 전기를 마련한 정책입니다.
국토부는 단지 공급이 아닌, 지역 친화형 복지 공간을 지향
지방소멸 위기 지역과 주거 취약 계층 대상 주거복지 강화
공공임대혁신과 지역 균형 발전을 동시에 추구